카테고리 없음2016. 12. 15. 13:00

직장인들이라면 누구나 국민연금을 내고 있습니다. 사업자가 50% 그리고 본인이 50%를 부담하도록 법적으로 가입을 하게 되어 있기 때문인데요, 가끔은 월급에서 돈이 그냥 새버리는 듯한 기분이 들어서 아깝게 느껴지기도 하는 게 사실입니다.

실제로 나중에 내가 연금을 받을 수 있는 시기가 되었을 때, 지금 예상하는 금액만큼 받을 수가 있는 건지, 그 금액은 어떻게 계산되어지는 것인지 지금부터 한 번 살펴보도록 할게요~

국민연금 계산법

내가 수령하게 될 국민연금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요, 첫 번째는 간단조회, 두 번째는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통한 상세조회입니다.

일단 네이버에서 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를 검색해 주세요. 메인 화면에서 [예상연금간단조회]를 클릭하시면 로그인 없이 간단하게 살펴보시는 첫 번째 방법을 진행하실 수가 있습니다.

현재 본인이 납입하고 있는 월보험료만 넣어주시면 신속하게 예상연금액을 확인가능하세요. 만약, 월 납입보험료가 10만원이면서 30년 가입의 경우라면 노령연금으로 약 50만원을 탈 수가 있구요, 장애연금은 장애 1급시 37만원가량을 탈 수가 있습니다. 단! 여기서 한 가지 주의하실 점이 있습니다. 

계산기에 기입하게 되는 월 납입보험료는 현재 본인이 내고 있는 금액에서 X2로 넣어주어야 한다는 사실입니다.

즉 여러분의 월급명세서에 국민연금 납부금액이 월 10만원이라면 회사에서 내주는 10만원까지 총 20만원이라는 점입니다. 이렇게 되면, 30년을 가입한다고 봤을 때 약 67만원의 노령연금을 탈 수가 있습니다.

국민연금 최대 납부액은 39만 600원인데요, 이렇게 되면 30년 가입 시 약 100만원을 수령할 수가 있습니다. 또 장애연금으로는 장애 1급시 약 74만원 수령이 가능합니다. 생각보다는 적다고 느껴지는 건 기분 탓일까요? ㅠㅠ

그렇다면 이번에는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통한 상세 계산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이 역시 인증서만 있다면 간편하게 확인이 가능합니다. 

국민연금공단 메인화면에서 오른쪽에 있는 [노후준비(내연금)]을 클릭해주세요. 그러면 내연금 알아보기, 국민연금 예상연금조회, 국민연금 모의계산이 나오는데요, 우리는 국민연금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므로  [내연금 알아보기(국민,개인,퇴직연금)]를 클릭합니다.

공인인증서 로그인을 하시게 되면 본인의 예상연금액과 수급개시 년월, 예상 총 납부월수, 예상납부보험료총액, 평균 소득월액 등 매우 상세한 항목까지 모두 확인이 가능합니다.

월급에서 매일 기계적으로 나가고 있는 돈이지만 많은 관심을 두고 있지 않으신 분들이라면 이번 기회에 꼼꼼하게 살펴보시기 바랄게요! 지금은 좀 아깝다고 느껴질 수도 있지만 나중에는 큰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말이죠.

Posted by